묵시적갱신2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상황에서 이사하고 중기청 전세대출로 인해 전입신고를 한 상황 [질문] 계약 만료 날짜가 19년 2월 이었고 묵시적 갱신으로 6개월 더 살고 8월에 이사를 했습니다. 이사가기 3개월 전 5월 중순 쯤에 이사를 가겠다고 전화를 하고, 6월 초에 확실한 이사 날짜 통보와 함께 집을 내놓기 위한 조건을 임대인으로부터 전달 받고 부동산에 집을 내놓기 시작했습니다. 이사하기 4일 전 확인차 다시 전화를 하니 이전 통화에 대해서 기억하지 못한다며 보증금을 당장 줄 수 없다고 했습니다. 임대인과 임차인 둘 다 이전 통화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본인(임차인)은 이를 감수하고 다음 집의 계약금을 위해 보증금의 절반 우선 송금 가능여부 확인 후 송금 받고 다음 집을 계약 및 이사 진행을 했습니다. 월세 및 공과금 정산을 하고 남은 보증금은 다음 세입자가 들어오면 받기로 .. 2020. 10. 22. 묵시적갱신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. [질문] 2017.4.28. 전세계약을 하였고, 만기 6일전인 2019.4.22. 집주인과 전세연장에 대한 문자를 주고받았습니다.(전세금 변동은 없고, 문자에 전세연장기간 2년이 문자내용에 기재되어 있습니다.) 그 이후 2020.7.17. 전세계약 해지의사를 카톡으로 보냈는데 이경우 묵시적갱신에 해당되어 제가 전세계약해지 의사표시를한 3개월 이후에 전세금을 받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. [답변] 1. 전세임대차계약은 묵시적갱신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.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.. 2020. 10. 19. 이전 1 다음